仁川李氏邵城譜世系圖(忠剛公派譜)

 

 

 

 

 

 

 

 

 

 

 

 

 

 

 

 

 

 

 

 

 

 

 

(

 

 

)

 

 

 

 

 

 

 

 

 

 

 

 

 

 

 

 

 

 

(

 

 

2

 

5

8

9

-

1

 

)

 

 

 

 

 

 

 

 

 

 

 

 

 

 

 

 

 

 

 

 

 

 

 

 

 

 

 

 

 

 

 

 

 

 

 

 

 

 

 

 

 

 

 

 

 

 

 

 

 

 

 

 

 

 

 

 

 

 

 

 

 

 

 

 

 

 

 

 

 

 

 

 

 

 

 

 

 

 

 

 

 

 

 

 

 

 

 

 

 

 

 

 

 

 

 

 

 

 

 

 

 

 

 

 

 

 

 

 

 

 

 

 

 

 

 

 

 

 

 

 

 

 

 

 

 

 

 

 

 

 

 

 

 

 

 

 

 

 

?

 

 

 

 

 

 

 

 

 

 

 

 

 

 

 

 

 

 

 

 

 

 

 

 

 

 

 

 

 

 

 

 

 

 

 

 

 

 

 

 

 

 

 

 

 

 

 

 

 

 

 

 

 

 

 

 

 

 

 

 

 

 

 

 

 

 

 

 

 

 

 

 

 

 

 

 

 

 

 

 

 

 

 

 

 

 

 

 

 

 

 

 

 

 

 

 

 

 

 

 

 

 

 

 

 

 

 

 

 

 

 

 

 

 

 

 

 

 

 

 

 

 

 

 

 

 

 

 

 

 

 

 

 

 

 

 

 

 

 

 

 

 

 

 

 

 

 

 

 

 

 

 

 

 

 

 

 

 

 

 

 

 

 

 

 

 

 

 

 

 

 

 

 

 

 

 

 

 

 

 

 

 

 

 

 

 

 

 

 

 

 

 

 

 

 

 

 

 

 

 

 

 

 

 

 

 

 

 

 

 

 

 

 

 

 

 

 

 

 

 

 

 

 

 

 

 

 

 

 

 

 

 

 

 

 

 

 

 

 

 

 

 

 

 

 

 

 

 

 

 

 

 

 

 

 

 

 

 

 

 

 

 

 

 

 

 

 

 

 

 

 

 

 

 

 

 

 

 

 

 

 

 

 

 

 

 

 

 

 

 

 

 

 

 

 

 

 

 

 

 

 

 

 

 

 

 

 

 

 

 

 

 

 

 

 

 

 

 

 

 

 

 

 

 

 

 

 

 

 

 

 

 

 

 

 

 

 

 

 

 

 

 

 

 

 

 

 

 

 

 

 

 

 

 

 

 

 

 

 

 

 

 

 

 

 

 

 

 

 

 

 

 

 

 

 

 

 

 

 

 

 

 

仁川李氏邵城譜世系圖(忠剛公派譜)

 

(null)

 

 

 

 

 

 

?

 

 

 

 

 

/

 

 

 

 

 

 

 

 

 

 

 

 

 

v

 

 

 

 

 

 

 

 

 

 

 

 

 

 

 

 

 

 

 

 

 

 

 

 

 

 

 

 

 

 

 

 

 

 

 

 

 

 

 

 

 

 

 

 

 

 

 

 

 

 

 

 

/

 

 

 

 

 

 

 

 

 

 

 

 

 

 

 

 

 

 

 

 

 

 

 

 

 

 

 

 

 

 

 

 

 

 

 

 

 

 

 

 

 

 

 

 

 

 

 

 

 

 

 

 

 

 

 

 

 

 

 

 

 

椿

 

 

 

 

 

 

 

 

 

 

 

 

 

/

 

 

 

 

 

 

 

 

 

 

 

 

 

 

 

 

 

 

 

 

 

(

1

2

9

0

)

 

 

 

 

 

 

 

 

 

 

 

 

 

 

 

 

 

 

 

 

 

 

 

 

 

 

 

 

    

邵城係譜(나의가계도).hwp

 

 

 

 

 

 

 

 

 

 

 

 

 

 

1

 

 

 

 

 

 

 

 

 

 

 

 

 

 

 

 

 

 

 

   

 

 

 

 

 

 

 

 

 

 

(

1

3

2

0

)

 

 

 

 

 

 

 

 

 

 

 

 

 

 

 

 

 

 

 

 

 

 

 

 

 

 

 

 

 

 

 

 

 

 

 

 

 

2

 

 

 

 

 

 

 

 

 

 

 

 

 

 

 

 

 

 

 

 

 

 

 

 

 

 

 

 

 

 

(

1

3

5

2

-

1

4

5

0

 

 

 

 

 

 

 

 

 

 

 

 

 

 

 

 

 

 

 

 

 

 

 

 

 

 

 

 

 

 

 

 

3

 

 

 

 

 

 

 

 

 

 

 

 

 

 

 

 

 

 

 

 

 

 

 

 

 

 

 

(

1

3

9

9

-

1

4

5

4

 

 

 

 

 

 

 

 

 

 

 

 

 

 

 

 

 

 

 

 

 

 

 

 

 

 

 

 

 

 

 

 

 

 

 

 

 

4

 

 

 

 

 

 

 

 

 

 

 

 

 

 

 

 

 

 

 

 

 

 

 

 

 

 

 

 

 

 

 

 

 

 

 

 

 

 

 

 

 

 

 

 

 

 

 

 

 

 

 

 

 

 

 

 

 

 

 

 

 

 

 

 

 

 

 

 

 

 

 

 

 

 

 

5

 

 

 

 

 

 

 

 

 

 

 

 

 

 

 

 

 

 

 

 

 

 

 

 

 

 

 

 

 

 

 

 

 

 

 

 

 

 

 

 

 

 

 

 

 

 

 

 

 

 

 

 

 

 

 

 

 

 

 

 

 

 

 

 

 

 

 

 

 

 

 

 

 

 

 

 

 

 

 

 

 

 

 

6

 

 

 

 

 

 

 

 

 

 

 

 

 

 

 

 

 

 

 

 

 

 

 

 

 

 

 

 

 

 

 

 

 

 

 

 

 

 

 

 

 

 

 

 

 

 

 

 

 

 

 

 

 

 

 

 

 

 

 

 

 

 

 

 

 

 

 

 

 

 

 

 

 

 

 

 

 

 

 

 

7

 

 

 

 

 

 

 

 

 

 

 

 

 

 

 

 

 

 

 

 

 

 

 

 

 

 

 

 

 

 

 

 

 

 

 

 

 

 

 

 

仁川李氏邵城譜世系圖(忠剛公派譜)

 

 

 

 

 

 

 

 

 

 

 

 

 

 

 

 

 

 

 

 

 

 

 

 

 

 

 

 

 

 

 

 

 

 

 

 

 

 

 

 

8

 

 

 

 

 

 

 

 

 

 

 

 

 

 

 

 

 

 

 

 

 

 

 

 

 

 

 

 

 

 

 

 

 

 

 

 

 

 

 

 

 

 

 

 

 

 

 

 

 

 

 

 

 

 

 

 

 

 

 

 

 

 

 

 

 

 

 

 

 

 

 

 

 

 

 

 

 

 

9

 

 

 

 

 

 

 

 

 

 

 

 

 

 

 

 

 

 

 

 

 

 

 

 

 

 

 

 

 

 

 

 

 

 

 

 

 

 

 

 

 

 

 

 

 

 

 

 

 

 

 

 

 

 

 

 

 

 

 

 

 

 

 

 

 

 

 

 

 

 

 

 

 

 

 

 

10

 

 

 

 

 

 

 

 

 

 

 

 

 

 

 

 

 

 

 

 

 

 

 

 

 

 

 

 

 

 

 

 

 

 

 

 

 

 

 

 

 

 

 

 

 

 

 

 

 

 

 

 

 

 

 

 

 

 

 

 

 

 

 

 

 

 

 

 

 

 

 

 

 

 

11

 

 

 

 

 

 

 

 

 

 

 

 

 

 

 

 

 

 

 

 

 

 

 

 

 

 

 

 

 

 

 

 

 

 

 

 

 

 

 

 

 

 

 

 

 

 

 

 

 

 

 

 

 

 

 

 

(1

7

2

5

-

1

8

0

7)

 

 

 

 

 

 

 

 

 

12

 

 

 

 

 

 

 

 

 

 

 

 

 

 

 

 

 

 

 

 

 

 

 

 

 

 

 

 

 

 

 

 

 

 

 

 

 

 

 

 

 

 

 

 

 

 

 

 

 

 

 

 

 

 

 

 

 

 

 

 

 

 

 

 

 

 

 

 

 

 

 

 

 

 

 

 

 

 

 

 

13

 

 

 

 

 

 

 

 

 

 

 

 

 

 

 

 

 

 

 

 

 

 

 

 

 

 

 

 

 

 

 

 

 

 

 

 

 

 

 

 

 

 

 

 

 

 

 

 

 

 

 

 

 

 

 

 

 

 

 

 

 

 

 

 

 

 

 

 

 

 

 

 

 

 

14

 

 

 

 

 

 

 

 

 

 

 

 

 

 

 

 

 

 

 

 

 

 

 

 

 

 

 

 

 

 

 

 

 

 

 

 

 

 

 

 

 

 

 

 

 

 

 

 

 

 

 

 

 

 

 

 

 

 

 

 

 

 

 

 

 

 

 

 

 

 

 

 

 

 

 

 

15

 

 

 

 

 

 

 

 

 

 

 

 

 

 

 

 

 

 

 

 

 

 

 

 

 

 

 

 

 

 

 

 

 

 

 

 

 

 

 

 

 

 

 

 

 

 

 

 

 

 

 

 

 

 

 

 

 

 

 

 

 

 

 

 

 

 

 

 

 

 

 

 

 

 

 

 

16

 

 

 

 

 

 

 

 

 

 

 

 

 

 

 

 

 

 

 

 

 

 

 

 

 

 

 

 

 

 

 

 

 

 

 

 

 

 

 

 

 

 

 

 

 

 

 

 

 

 

 

 

 

 

 

 

 

 

 

 

 

 

 

 

 

 

17

 

 

 

 

 

 

 

 

 

 

 

 

 

 

 

 

 

 

 

 

 

 

 

 

 

 

 

 

 

仁川李氏邵城譜世系圖(忠剛公派譜)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邵城係譜(나의가계도).hwp
0.1MB

인천 이 (仁川 李) 역대 주요인물

이허겸(李許謙)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소성백(邵城伯)
이 한(李 翰)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시(諡):문경(文景)
이 진(李 瑱) 우복야(右僕射)
이자연(李子淵) 문하시중(門下侍中)∙시(諡):장화(章和)
이 눌(李 訥) 대장군(大將軍)
이자상(李子祥) 증상서우복야(贈尙書右僕射)
이성간(李成幹) 상장군 겸 검교태자소보(上將軍 겸 檢校太子小保)
이총현(李聰顯) 예부상서(禮部尙書)
이 정 태사시중(太師侍中)∙경원백(慶源伯)∙시(諡):정헌(貞憲)
이소현(李韶顯) 시(諡):혜덕왕사(惠德王師)
이 적(李 적) 전중소감(殿中少監)
이 석(李 碩) 공부상서(工部尙書)∙평장사(平章事)
이 의(李 의) 춘천도감창사(春川道監倉使)
이 호(李 顥) 수사공 문하시랑평장사 태자태부 상주국 경원백∙시(諡)경덕(景德)
이 예(李 預) 중서시랑(中書侍郞)∙평장사(平章事)∙시(諡):문현(文顯))
이 오 태사중서시랑평장사(太師中書侍郞平章事)∙시(諡):문량(文良)
이자겸(李資謙) (1060-1126) 조선국공(朝鮮國公)/한양공(漢陽公)중서령 자연의 손자, 경원백 호의 장자
이자인(李資仁)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이자의(李資義) 호부상서(戶部尙書)
이자충(李資忠) 상서병부랑중(尙書兵部郞中)
이자례(李資禮) 좌사낭중(左司郞中)
이자지(李資智) 예빈경(禮賓卿)
이자현(李資玄) 대악서승(大樂署丞)∙시(諡):진락(眞樂) (1061-1125) 자 진정(眞精) 호 식암(息菴), 희이자(希夷子) 청평거사(淸平居士) 시호는 진락(眞樂)
이자덕(李資德) 금자광록대부평장사(金紫光祿大夫평장사)∙시(諡):장의(莊懿)
이자량(李資諒) 호부시랑(戶部侍郞)
이자함(李資諴) 호부랑중(戶部郞中)
이자원(李資元)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 예빈경(禮賓卿)
이공수(李公壽) 문하시중상주국추성위사동덕공신(門下侍中上柱國推誠衛社同德功臣)∙시(諡): 문충(文忠) (1062-1137) 字 원로(元老) 초명(初名) 수(壽)
이언림(李彦林)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이 식(李 軾)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이지정(李之正) 전중소감(殿中少監)
이지화(李之和) 상의봉어(尙衣奉御)
이지미(李之美) 추밀원사(樞密院使)
이공의(李公儀) 형부시랑(刑部侍郞)
이지언(李之彦) 공부시랑(工部侍郞), 어사잡단(御使雜端)
이지보(李之甫) 호부랑중(戶部郞中), 지다방사(知茶房事)
이지윤(李之允)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
이지원(李之元) 합문지후(閤門祗侯)
이지저(李之氐) 정당문학(政當文學)∙참지정사(參知政事)∙시(諡):문정(文正)
이지간(李之幹) 양온령동정(良溫令同正)
이지무(李之茂) 문하시랑 동 중서시랑평장사(門下侍郞 同 中書侍郞平章事)
이지혜(李之惠) 천관사 성중대사(天冠寺 性重大師)
이지의(李之懿) 상사직장(尙舍直長)
이지철(李之喆) 강정도감판관(剛正都監判官)
이광진(李光瑨) 참지정사(參知政事)∙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시(諡):저의(貞懿)
이응구(李應球) 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侯),대부소경(大府少卿)
이응장(李應璋) 지첨사부사(知詹事府事)
이혁연(李奕筵)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시(諡):정간(貞簡)
이세흥(李世興) 한림원대제학(翰林院大提學)
이세장(李世長) 수사공 상서좌복야 태학사(守司空 尙書左僕射 太學士)
이세영(李世延) 형부시랑(刑部侍郞)
이인로(李仁老)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강좌칠현(江左七賢)
(1152-1220) 초명 得玉 字 眉叟 호 靑蓮/臥陶軒
이 간(李 侃) 평주목사(平州牧使)
이 정(李 程) 공부상서(工部尙書)
이 온 예부시랑(禮部侍郞)
이 경(李 儆) 추밀원사(樞密院使)
이작신(李作臣)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장용(李藏用) 판병부사문하시중(判兵部事門下侍中)∙시(諡):문진(文眞)
(1201-72) 초명 인기(仁祺) 자 현보(顯甫) 호 약촌(藥村)
이 온 중현대부(中顯大夫)
이극명(李克明) 공조판서(工曹判書)
이원굉(李元紘) 정당문학(政當文學)∙연산군(燕山君)
이 육(李 육) 보은현감(報恩縣監)
이익세(李益歲) 중서사인지제고(中書舍人知制誥)
이춘년(李椿年) 종부령(宗簿令)
이원집(李元緝) 사헌부 지평(司憲府 持平)
이 관(李 灌) 자헌대부이조판서(資憲大夫吏曹判書)
이 심(李 深) 전공판서(典工判書)
이 활(李 活) 이조좌랑(吏曹左郞)
이 양(李 穰) 중추부사(中樞府使)
이현좌(李賢佐) 대광보국숭록대부 경성부원군(大匡輔國崇祿大夫 慶城府院君)
이만영(李萬英) 이조판서 인천군(吏曹判書 仁川君)
이 조(李 藻) 중랑장, 지군사(中郞將,知郡事)
이 달(李 達) 한성판윤, 호조참판(漢城判尹, 戶曹參判)
이세정(李世楨) 군수(郡守)∙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이극성(李克誠) 수의부위(修義副尉)
이전수(李全粹) 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
이문화(李文和) 숭정대부대제학(崇政大夫大提學))∙시(諡):공도(恭度) (1358-1414) 字 백중(伯中) 호 오천(烏川)
이효인(李孝仁) 호조판서(戶曺判書)
이효의(李孝義) 공조판서(工曹判書)
이효례(李孝禮) 예조판서(禮曹判書)
이효지(李孝智) 형조판서(刑曹判書)
이효신(李孝信) 예조판서(禮曹判書), 판돈령(判敦寧)
이효상(李孝常) 지돈령(知敦寧)∙시(諡):안정(安靖)
이무창(李茂昌) 鴻臚少卿)
이계장(李繼長) 순흥부사(順興府使)
이문명(李文命) 광록소경(光綠少卿)
이 거 호군 증예조판서(護軍 贈禮曹判書)
이전생(李全生)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 추(李 추) 보은현감(報恩縣監)
이백장(李栢長) 사직(司直)
이회장(李檜長) 부사직(副司直)
이계우(李繼祐) 현령(縣令)
이소인(李紹仁) 직장(直長)
이규경(李珪卿) 직장(直長)
이구경(李球卿) 숙천부사(肅川府使)
이선경(李璿卿) 상호군(上護軍)
이극명(李克明) 청백리(淸白吏)
이성해(李成諧) 직제학(直提學)
이거경(李居敬) 문과(文科)∙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이기자(李起紫) 전력부위훈련봉사(展力副尉訓練奉事))
이 송(李 松) 진사(進士)
이승원(李承元) 진사(進士)
이문영(李文英) 장사랑(將仕郞)
이현좌(李賢左) 조식문인(曹植文人)
이현우(李賢佑) 문행(文行)
이 적(李 績) 생원진사(生員進士)∙한훤당문인(漢喧堂門人)
이성동(李成童 대사간(大司諫))
이 교(李 郊) 증승의좌통례(贈承議左通禮)
이장형(李長馨) 동몽교관(童蒙敎官)
이명세(李命世) 진사(進士)
이원형(李遠馨) 동몽교관(童蒙敎官)
이원성(李元盛) 증공조참의(贈工曹參議)
이원좌(李元佐) 증한성우윤(贈漢城右尹)
이문범(李文範) 증사도시첨정(贈司導侍僉正)
이충범(李忠範) 장단부사(長湍府使)
이시신(李時愼) 증봉직랑사복사판관(贈奉直郞司僕寺判官)
이시민(李時敏) 진사(進士)
이시립(李時立) 강진현감(康津縣監)
이 주(李 輈) 진사(進士), 임진창의공신(壬辰倡義功臣)
이 연(李 衍) 진사(進士)
이태연(李泰顯) 참판(參判)
이상운(李尙運) 문과(文科)
이휴복(李休復) 순천군수(順天郡守)∙진무공신(振武功臣)∙봉인원군(封仁原君)
이만성(李晩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이재호(李在昊)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이 승(李 昇) 진사(進士)
이 가(李 岐) 거제, 창원 대도호부사(巨濟,昌原大都護府使)
이 장(李 嶂) 무과(武科)
이후삼(李垕森) 증비서원승(贈秘書院承)
이충립(李忠立) 첨절제사(僉節制使)
이신립(李信立) 강동현감(江東縣監)
이 맹(李 孟) 수문장(守門將)
이승원(李承元) 진사(進士)
이종인(李種仁)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이익도(李益道) 단천만호(端川萬戶)∙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
이수원(李壽元) 이인좌(李麟佐) 난(難)때 의병창솔(義兵倡率)한 사의사(四義士)
이수윤(李壽胤) 이인좌(李麟佐) 난(難)때 의병창솔(義兵倡率)한 사의사(四義士)
이희성(李希聖) 증공조참판(贈工曹參判)
이양채(李亮采)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약채(李若采)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이원섭(李元燮) 진사(進士)
이민기(李敏琦) 생원(生員)
이부연(李復淵) 진사(進士)
이석룡(李錫龍) 증사헌부감찰(贈司憲府監察)
이석규(李錫奎) 진사(進士)
이화상(李華祥) 진사(進士)
이원승(李源昇) 진사(進士)
이태현(李泰鉉) 한산군수(韓山郡守)
이상구(李相求) 진사(進士)
이상교(李相敎) 진사(進士)
이영수(李永壽) 효행(孝行)
이병운(李柄運) 진사(進士)
이병규(李柄逵) 진사(進士)
이병철(李柄喆) 유문행(有文行)
이세연(李世然) 성균박사(成均博士)
이시연(李時然) (문행(文行)
이희석(李僖錫) 진사(進士)
이수하(李洙夏) 문행(文行)
이만영(李萬英) 판서(判書)
이전생(李全生) 판서(判書)
이징석(李澄石) 양산군(梁山君)
이징옥(李澄玉) 절제사(節制使)
이징규(李澄圭)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영산군(靈山君)
이경희(李慶熙) 한말독립투사(韓末獨立鬪士)
이장희(李章熙) (1900∼1929) 본명은 양희, 아호는 보월

[등과인명(登科人名)]

▲고려조

예부등과(禮部登科)
이자연(李子淵) : 현종조(顯宗朝)
이 예(李 預) : 문종조(文宗朝)
이자인(李資仁) : 문종조(文宗朝)
이자현(李資玄) : 문종조(文宗朝)
이공수(李公壽) : 선종조(宣宗朝)
이지저(李之氐) : 예종조(睿宗朝)
이인로(李仁老) : 명종조(明宗朝)
이문화(李文和) : 우왕조(禑王朝)

▲조선조

문과(文科)
이 관(李 灌) : 이서참판(吏書參判)
이효인(李孝仁) : 호조판서(戶曺判書)
이효례(李孝禮) : 예조판서(禮曹判書)
이거경(李居敬) : 사성(司成)
이 활(李 活) : 부사(府事)
이효지(李孝智) : 영천군수 동지돈령부사(永川郡守 同知敦寧府事)
이효의(李孝義) : 진무사(鎭撫使)
이효신(李孝信) : 판부사(判府事)
이효상(李孝常) : 지돈령(知敦寧)
이성해(李成諧) : 직제학(直提學)
이전수(李全粹) : 직제학(直提學)
이성동(李成童) : 대사간(大司諫)
이충절(李忠節) : 부사(府事):  (이곳에는 李忠節로 되어 있는데 李忠範이 잘 못 植字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강호가 정정하여 보았음.)
이시립(李時立) : 군수(郡守)

무과(武科)
이귀경(李貴慶) : 북병마사(北兵馬使)
이산두(李山斗) : 첨사(僉事)
이 대(李 岱) : 첨사(僉事)
이 달(李 達) : 진관(鎭管)
이 우(李 遇) : 사직(司直)
이징옥(李澄玉) : 절제사(節制使)
이여신(李汝愼) : 참군(參軍)
이여상(李汝祥) : 군수(郡守)
이숭곤(李崇坤) : 군수(郡守)
이여운(李汝惲) : 수문장(守門將)
이여순(李汝恂) : 진관(鎭管)
이 당(李 瑭) : 현감(縣監)
이덕길(李德吉) : 부사(府事)
이유길(李維吉) : 선전관(宣傳官)
이양엽(李陽燁) : 부장(部將)
이원근(李元根) : 진관(鎭管)
이호겸(李好謙) : 선전관(宣傳官)
이요달(李堯達) : 판관(判官)
이휴복(李休復) : 군수(郡守)
이 신(李 晨) : 판관(判官)
이 기(李 岐) : 부사(府事)
이의립(李義立) : 참판(參判)
이원량(李原樑) : 선전관(宣傳官)
이신립(李信立) : 현감(縣監)
이원립(李元立) : 통정대부(通政大夫)
이 맹(李 孟) : 수문장(守門將)
이충립(李忠立) : 방어사(防禦使)
이식인(李植仁) : 선전관(宣傳官)
이맹도(李孟道) : 만호(萬戶)
이언형(李彦馨) : 사과(司果)
이종인(李種仁) : 만호(萬戶)
이인수(李仁壽) : 현감(縣監)
이인귀(李仁龜) : 선전관(宣傳官)
이규화(李奎華) : 절형장군(折衡將軍)
이 연(李 演) : 직장(直長)
이방현(李邦顯)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원발(李源發) : 선전관(宣傳官)
이채근(李采根) : 첨지충추부사(僉知中樞府事)
이명징(李明徵) : 선전관(宣傳官)
이팽석(李彭錫) : 사과(司果)

[조선조 급제자 정록]

관 (灌) : 태조(太祖) 2년∙무시(武詩)∙진사(進士)
효례(孝禮) : 세종(世宗) 1년∙증광시(增廣試)∙진사(進士)
활 (活) : 세종(世宗) 5년∙식년시(式年詩)∙진사(進士)
효신(孝信) : 세종(世宗) 20년∙식년시(式年詩)∙정과(丁科)
전수(全粹) : 세종(世宗) 21년∙친시(親試)∙병과(丙科)
성동(成童) : 연산(燕山) 1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진현(秦顯) : 숙종(肅宗) 13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상운(尙運) : 영조(英祖) 32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약채(若采) : 영조(英祖) 37년∙정시(庭試)∙을과(乙科)
휴복(休復) : 선조(宣祖) 39년∙식년시(式年試)∙무과(武科)

[벌열]
●공신(功臣)
: 이휴복(李休復) 인조(仁祖) 이괄난토평진무공신(李适亂討平振武功臣)
●절의(節義)
: 이성동(李成童) 중종(中宗) 기묘∙신사사화
●명륜(明倫)
: 효행(孝行))이재연(李在年)
●왕비(王妃)
: 인예왕후(仁睿王后)(고려 문조비∙이자연(李子淵)의 딸)
인경왕후(仁敬王后)(고려 문종비∙이자연(李子淵)의 딸)
인절왕후(仁節王后)(고려 문종비∙이자연(李子淵)의 딸)
원신궁주(元信宮主)(고려 선종비∙이 정
사숙궁주(思肅宮主)(고려 선종비∙이 석(李 碩)의 딸)
장경궁주(長慶宮主)(고려 선종비∙이 호(李 顥)의 딸)
정신왕후(貞信王后)(고려 선종비∙이 예(李 預)의 딸)
문경왕후(文敬王后)(고려 예종비∙이자겸(李資謙)의 딸)
연덕궁주(延德宮主)(고려 인종비∙이자겸(李資謙)의 딸)
복창원주(福昌院主)(고려 인종비∙이자겸(李資謙)의 딸)
●문집(文集)
: 이인로(李仁老) - 은대집(銀臺集) 20권, 후권(後卷) 4권, 쌍명집(雙明集) 3권, 파한집(破閑集) 3권,홍도정부(紅桃井賦) 1편, 추화백약공악도 시(追和百藥公樂道詩) 1권
이자현(李資玄) - 남유(南遊) 시(詩)1권, 선기어록(禪機語錄)1권, 가송(歌頌) 1권, 포포송(布褒頌) 1권
이장용(李藏用) - 선가종파도(禪家宗派圖), 화엄추동기(華嚴錐洞記)

 

인천이씨 공식홈페이지

http://www.iclee.or.kr/

인 천 이 씨

김해김씨·김해허씨·인천이씨 유래 - 가락김씨(김해김씨) 시조인 가야국 김수로왕(金首露王, 서기 42~199)은 배를 타고 들어온 아유타국(지금의 인도) 공주와 혼인을 하였는데 이름이 허황옥(許黃玉)이었다. 김수로왕과 허왕후 사이에는 장자 거등(居登)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왕자들을 낳았다는데 왕자들은 처음엔 왕의 성을 따라 김씨로 하였다. 그러나 왕비인 허씨가 자기의 성인 허씨의 성도 보전해 달라고 왕에게 간곡하게 부탁하여 장자 거등은 왕의 대를 잇기 위해 김씨 성을 그대로 따르게 하고, 아래로 두 아들은 어머니의 성을 따라 허씨로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일곱 형제들은 불문에 귀의하였다.

 

가락국이 신라에 병합되었을 때 허씨의 후손 중에 허기(許奇)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아찬(阿粲 : 6두품)이란 벼슬을 지내고 있었다. 허기는 경덕왕 15년 왕명을 받고 당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그런데 당나라에 도착을 하고 보니, 마침 안록산의 난이 일어나 당() 현종(玄宗)은 촉()으로 피신하고 있는 중이었다. 이에 허기는 현종을 도와 무사히 촉까지 호종하는 공을 세웠다. 안록산이 죽고 나라가 안정되자 현종은 허기의 공을 높이 치하하여 황실의 성인 이씨의 성을 하사하였다. 따라서 라는 성 앞에 라는 성을 붙여 이허’(李許)로 부르게 되어 허기가 이허기(李許奇)로 바뀐 것이다.

 

이허기가 사신의 임무를 마치고 귀국하자 신라 임금도 이허기의 벼슬을 높이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하였다. 소성이란 지금의 인천 지역을 가리킨다. 세월이 흘러, 그의 10세손인 이허겸(李許謙)이란 인물이 고려 왕실에서 다시 내린 소성백이란 봉작을 받고 그 지역을 관향삼아 소성이씨로 살아가니 지금의 인천이씨 시조가 된 것이다 인천 이씨의 선계는 가야계의 허씨로 알려져 있다. 신라 경덕왕 14(755) 허황후(許皇后)23세손인 아찬(阿飡신라 17관등 중 6번째 관등) 허기(許奇)가 신라 사신으로 당()나라에 갔을 때 그해 11에 안록산(安祿山)의 난이 발생하여 현종(玄宗)756년 촉()으로 피난하게 되었다.

 

그때 허기(許奇)는 위험을 무릅쓰고 현종을 호종(扈從)하였으며, 757년 난이 평정되어 현종이 도성으로 돌아와서 이를 가상히 여겨 시서(詩書)와 황제의 성()인 이씨(李氏)를 사성(賜姓)하였다. 758허기(許奇)가 신라로 환국하자 신라 경덕왕은 그 공을 기려 소성백(邵城伯)의 작위(爵位)와 식읍(食邑) 1,500호를 봉하여 세습케 하였으며, 이로써 허씨(許氏)에서 이씨(李氏)가 되었으므로 인천 이씨 문중에서는 이허기(李許奇)를 득성조(得姓祖)라 한다.

 

득성조(得姓祖) 이허기(李許奇)10세손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낸 이허겸(李許謙)에게는 21녀가 있었는데 그의 딸이 김은부(金殷傅)에게 시집가서 세 딸을 낳았고, 이 세 딸이 모두 현종(顯宗)의 비()가 되었다. 인천 이씨는 바로 허씨에서 갈린 분적종(分籍宗)으로 경원 이씨(慶源李氏) 또는 인주 이씨(仁州李氏)로도 불렸다.본관[편집]인천(仁川)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매소홀현이었는데 경덕왕때 소성으로 개칭, 율진군(시흥군)의 영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413(태종 13)에 인천군이 되었으며 1949년 인천시로 개칭되고 198171일 직할시로 승격, 경기도에서 분리 독립하였다.

 

분파

시중공파(侍中公派) - 이작신

공도공파(恭度公派) - 이문화

쌍명재파(雙明齋派) - 이인로

충강공파(忠剛公派) - 이징옥

 

고려 왕실과의 인척관계

문종비 인예왕후

문종비 인경현비

문종비 인절현비

순종비 장경궁주

선종비 정신현비

선종비 사숙왕후

선종비 원신궁주

예종비 경화왕후

예종비 순덕왕후

인종비 폐비 이씨 (이자겸의 3)

인종비 폐비 이씨 (이자겸의 4)

 

本貫仁川이며 圓峰 諡號忠剛(正祖151791)으로써.判中樞院事 崇政大夫 從一品 咸吉道 都節制使 大金帝國 建國 大金皇帝에 추대되었다. 始祖 邵城伯 諱 李許謙後孫이다. 上代祖文獻 無證으로 中始祖 祖 諱 萬英 麗朝에 벼슬하여 李朝匡國 輔祚功臣 吏曹判書 仁川君 子 全生 太祖工曹典書 世宗梁山君 封 梁山府院君次男이다. 兄 諱 澄石 梁山君 襲封 弟 諱 澄珪 靈山君이며 配 貞敬夫人 碧珍 李氏 吏曹判書 愼之의 딸 三男一女를 두었다. 長男 滋源 次男 潤源 三男 淵源이다.

 

李澄玉1399년 태어나1453을 일생으로 경남 양산시 하북면 삼수리에 태어나 소년 시절부터 무용이 특출하였다. 17세에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태종 16(1416)에 부거책장 수비대장에 역임, 18세 때 무과 친시 별시 장원급제하여 영북진 절제사 소년 절제사가 되었다. 그 후 경원 절제사 경원 병마 절제사 회령 북진 절제사 경상도 도절제사 평안도 도절제사 함길도 도절제사 지중추원사 판중추원사를 태종 16년에서 단종에 이르기까지 두루 역임하면서 북방 국토 방위 중책의 임무에 전념하였다.

 

(왕조실록) 문종2년 사군 육진 개척에 용감히 위명을 떨친 공과 청렴결백의 숭고한 정신을 함양하고자 特令으로 崇政大夫 당대 무신 제일의 從一品의 품계를 下賜받았다. 삼십여 년 변방 사군 육진 개척의 선봉 명장으로 위용과 위명을 만주 땅 요동까지 널리 과시하여 여진족들은 신의 존재로 추앙하였다.

 

함길도 도절제사 재직시 1453년 계유정난을 맞아 수양이 소인배 무리들과 합세 왕권을 찬탈하기 위해 거사를 실행하던 중 김종서 장군과 많은 충신들을 주살하고 이징옥 장군이 크게 장애가 됨으로 아무런 이유 없이 직위를 파직하였다. 파직 당한 이징옥 장군은 수양의 음모로 판단 후임 박호문을 처형하고 충신은 불사이군이라 충의의 정신으로 나라의 장래를 걱정하며 백성을 위해 수양에게 반기를 들었다.

 

이 기회에 만주 일대 여진족은 이징옥 장군을 영도자로 모시고 대민족 국가 건설에 앞장서자며 오부족 대표 건주 여진 추장 누르하치의 조부 기오창까가 주도 특사 김수산 부장 일행과 합의하여 대금제국을 건국, 영토를 만주 전역으로 선포하고 도읍은 오국성(혁도아랍)만주땅 건주여진 본거지에 정하고 대금제국 대금황제에 이징옥 장군을 추대하였다.

 

이징옥 장군은 대국을 건설하여 사필귀정을 결심하고 대금황제에 제위 대금제국 건국을 선포하였다.민족의 여망 대민족 건설에 대금제국 깃발을 들고 대금제국 만세 대금제국 만세 장엄한 행렬과 함성 소리는 만주땅 요동을 진동하며 오국성 입성 전야에 수양의 일당 정종,이행검의 흉계로 야습을 당해 대금제국 운명과 민족사의 비극으로 일생을 마쳤다.

 

그 변란에 長男 滋源 次男 潤源은 순절하였고 三男 淵源은 유모가 구출하여 산을 넘고 물을 건너 머나먼 경주 토함산 서편 아래 상신곡에 은거하였다. 혈족을 이어가기 위해 草山이라하고 개명을 台燁으로 하였다. 그 후 자손이 번창하여 지금의 世系를 이어가고 있다. 十一世孫 震煥에 이르러 禮曹에 글을 올려 純祖 12(1812)仁川으로 環貫하였다.

 

아 난세의 영웅 이징옥 장군 만고에 충신 이징옥 장군 540년이 지나도록 무덤마저 찾을 길 없어 자손의 한으로 남아 토함산 서편 아래 경북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상신)에 경모재를 짓고 신도비를 세워 위업을 새겨 제단을 설단하여 봄에 향사 1019일 대제에 봉축하고 왔으나 다행히 자손들이 정성을 모아 上薪祠 사우를 신축하여 위폐를 모시고 제단비도 새로 단장하여 忠剛의 얼을 추모하고 있다. 충강공 이징옥 장군께서는 계룡산 동학사 숙모전과 영월 장능 단종 배식단 사우에 사육신과 더불어 충신으로 모셔 지난 역사를 되새겨 주고 있다.

仁川李氏 邵城譜 世系圖

(시중공, 공도공, 충강공. 쌍명제공)

1 (14)代組 : 李 許 謙(邵城伯:인천광역시연수구연수2583-1)

2 (13)代組 : (문경공)

3 (12)代組 : (우복야)

4 (11)代組 : (평장사)

5 (10)代組 : (문충공)

6 ( 9)代組 : (문정공)

7 ( 8)代組 :

8 ( 7)代組 :

9 ( 6)代組 :

10 ( 5)代組 :

11 ( 4)代組 : (양산/永茂)

12 ( 3)代組 : 0 0 (양산/復禮)

13( 2)代組 : 椿 (益歲1290, (양산/守中)

14(1)代組 : 李 萬 / 중시조(1320,賢 佐)

(慶南 昌寧郡 丈麻面 丈加里 山88番地)

15( 2)代組 : 全 生(1352-1450)

16( 3)代組 : 澄石 澄玉(1399-1453) 澄珪

17( 4)代組 : 滋源 潤源 淵源

18( 5)代組 :

19( 6)代組 : 公憲

20( 7)代組 : 得龍 得良

21( 8)代組 : 宗敏 宗華

22( 9)代組 : 佑節 佑漢

23(10)代組 : 汝煒 汝芳 汝雄

24(11)代組 : 仁宅 仁九 仁錫

25(12)代組 : 梓 柏(1725-1807)

26(13)代組 : 震煥 震明 震國 震坤(1791-1854)

27(14)代組 : 貞泰 在泰 應泰(1825-1886) 元泰

28(15)代組 : 德淳 德民 德文 德範(1858-1912) 德建 德成

29(16)代組 : 鳳馝 滿馝 益馝(1891-1973) 種馝 東馝

30(17)代組 : 殷毫(19-40) 殷甫(1930-1987) 殷隨 殷白 殷述 殷鶴 殷俊 殷佑

31(18)代組 : 增洛(42- ) 協洛(46- ) 和洛 靜洛 容洛 式洛 台洛 圭洛 相洛

32(19): 東保 東億 東佑 東春 東喆 東鉉

33(20): 琪烈 光烈 景烈 琴烈

34(21):

35(22):

2000년 통계조사 총 계 : 1,180,21,448/68,628.

 

 

 

(邵城譜 世系圖)

 

1 ( )代組 : (邵城伯:인천광역시연수구연수2583-1)

2 ( )代組 : (문경공)

3 ( )代組 : (우복야)

4 ( )代組 : (평장사)

5 ( )代組 : (문충공)

6 ( )代組 : (문정공)

7 ( )代組 :

8 ( )代組 :

9 ( )代組 :

10 ( )代組 :

11 ( )代組 : (양산/永茂)

12 ( )代組 : 0 0 (양산/復禮)

13( )代組 : 椿 (益歲1290, 양산/守中)

14(1)代組 : 李 萬 /중시조(1320, 賢 佐)

15( 2)代組 : (13521450)

16( 3)代組 : (함길도도절제사:13991453))

17( 4)代組 :

18( 5)代組 :

19( 6)代組 :

20( 7)代組 :

21( 8)代組 :

22( 9)代組 :

23(10)代組 :

24(11)代組 :

25(12)代組 : (통정대부공조참의:17251807)

(12)代組 : 숙부인(월성박씨)

26(13)代組 : (17911854)

(13)代組 : 김녕김씨

27(14)고조 : (18251886)

(14)고조 : 학성이씨

28(15)증조 : (18581912)

(15)증조 : 이영순(월성이씨)

29(16)조부 : (1891~1973)     俊  馝(준필)

(16)조모 : 용궁전씨                     백운곡(청도백씨)

(16)조모 : 손상신(월성손씨)         

30(17)부친 : (19271987) 殷 七(은칠:1921~2001)

(17)모친 : 주경선(신안주씨)          김복순(김해김씨)(1927~2013)

31(18)본인 : (1946 ~ )                   守  洛(수락(본명:영수):1956~            )

(18) : 최 해자()                          이윤경 (경주이씨)

32(19) : (1975 )                     東  實(동실(본명:正바를정 實열매실):1976~       )                    

32(19) : 조 현숙()                    장은경(인동장씨)

33(20) : ()                         祥 烈 (상렬(본명:泰 클태 雄 수컷웅)

      

 

 

 

 

 

 

忠剛公(仲始祖)係譜

 

(1320- )(14.시중공, 공도공, 충강공. 쌍명제공)

14世孫( 1): 1萬英:(慶南 昌寧郡 丈麻面 丈加里 山88番地)

15世孫( 2): 1全生(1352-1450)

16世孫( 3): 3澄石 澄玉(1399-1453) 澄珪

17世孫( 4): 7滋源 潤源 淵源

18世孫( 5): 4

19世孫( 6): 6公憲

20世孫( 7): 8得龍 得良

21世孫( 8): 9宗敏 宗華

22世孫( 9): 2佑節 佑漢

23世孫(10): 3汝煒 汝芳 汝雄

24世孫(11): 3仁宅 仁九 仁錫

25世孫(12): 7梓 柏(1725-1807)

26世孫(13): 14震煥 震明 震國 震坤(1791-1854)

27世孫(14): 24貞泰 在泰 應泰(1825-1886) 元泰

28世孫(15): 43德淳 德民 德文 德範(1858-1912) 德建 德成

29世孫(16): 80鳳馝 滿馝 益馝(1891-1973) 種馝 東馝

30世孫(17):141殷毫(19-40)殷甫(1927-1987) 殷隨 殷白 殷述 殷鶴 殷俊 殷佑

31世孫(18):285增洛(41- ) 協洛(46- ) 和洛 靜洛 容洛 式洛 台洛 圭洛 相洛

32世孫(19):362東保 東億 東佑 東春 東喆 東鉉

33世孫(20):155琪烈 光烈 景烈 琴烈

34世孫(21): 22

35世孫(22):

36世孫(23):

37世孫(24):

38世孫(25):

39世孫(26):

40世孫(27):

41世孫(28):

42世孫(29):

43世孫(30):

44世孫(31):

45世孫(32):

46世孫(33):


부산 영락공원에 안치되어있던 아버지묘를 개장하여

어머니와 같이 부산 추모공원 봉안당에 모셨다 마침 두분을 나란히 모실수가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 하며 애써 마음을 위로해 본다.

 

1

 


하나의 사랑 (추성훈 Ver.) - 추성훈

가슴속에 차오르는 그대
이렇게 외면하지만
나는 이미 알고 있잖아
그댈 원하고 있어

날 바라보는 그대 눈빛 속에
영원히 머물고 싶어
함께 할 수 없는 사랑은
이젠 견딜 수가 없어

다가갈수록 멀어지는
그대 뒷모습 바라보고 있어
돌아서서 젖어 노는 슬픔을
그댄 알 수 없을 꺼야

서로 잠시 멀리 있다 해도
이제는 느낄 수 있어
오직
내가 꿈꿔왔던건
그대라는 단 하나의 사랑

다가 갈수록 멀어지는
그대 뒷모습 바라보고 있어
돌아 서서 젖어 오는 슬픔을
그댄 알 수 없을 꺼야


가사 출처 : Daum뮤직

시조 허겸(許謙)할아버지로부터 인천이씨 대동족보에서 아버지 은칠(殷七):30세손, 영주(일명榮洛),영돈(일명敦洛),나 영수(榮守일명:守洛):31세손,정실(正實일명:東實):32세손

31세손 영재(일명宰洛),영만(일명:晩洛)

 중시조 만영(萬英) 할아버지로 부터(충강공파)

 아버지 은칠(殷七):17세손, 나 영수(榮守일명:守洛):18세손,정실(正實일명:東實):19세손

 충강공파 경주파 항렬도

 충강공파 경주파 항렬도 상세

 

 

 

 

本貫은 仁川이며 號는 圓峰 諡號는 忠剛(正祖15년1791)으로써.判中樞院事 崇政大夫 從一品 咸吉道 都節制使 大金帝國 建國 大金皇帝에 추대되었다.

始祖 邵城伯 諱 李許謙의 後孫이다. 上代祖의 文獻 無證으로 中始祖 祖 諱 萬英 麗朝에 벼슬하여 李朝에 匡國 輔祚功臣 吏曹判書 仁川君 子 全生 太祖에 工曹典書 世宗에 梁山君 封 梁山府院君의 次男이다.

兄 諱 澄石 梁山君 襲封 弟 諱 澄珪 靈山君이며 配 貞敬夫人 碧珍 李氏 吏曹判書 愼之의 딸 三男一女를 두었다. 長男 滋源 次男 潤源 三男 淵源이다.

李澄玉은 1399년 태어나1453을 일생으로 경남 양산시 하북면 삼수리에 태어나 소년 시절부터 무용이 특출하였다.

17세에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태종 16년(1416)에 부거책장 수비대장에 역임, 18세 때 무과 친시 별시 장원급제하여 영북진 절제사 소년 절제사가 되었다. 그 후 경원 절제사 경원 병마 절제사 회령 북진 절제사 경상도 도절제사 평안도 도절제사 함길도 도절제사 지중추원사 판중추원사를 태종 16년에서 단종에 이르기까지 두루 역임하면서 북방 국토 방위 중책의 임무에 전념하였다.

(왕조실록) 문종2년 사군 육진 개척에 용감히 위명을 떨친 공과 청렴결백의 숭고한 정신을 함양하고자 王의 特令으로 崇政大夫 당대 무신 제일의 從一品의 품계를 下賜받았다.

삼십여 년 변방 사군 육진 개척의 선봉 명장으로 위용과 위명을 만주 땅 요동까지 널리 과시하여 여진족들은 신의 존재로 추앙하였다.

함길도 도절제사 재직시 1453년 계유정난을 맞아 수양이 소인배 무리들과 합세 왕권을 찬탈하기 위해 거사를 실행하던 중 김종서 장군과 많은 충신들을 주살하고 이징옥 장군이 크게 장애가 됨으로 아무런 이유 없이 직위를 파직하였다. 파직 당한 이징옥 장군은 수양의 음모로 판단 후임 박호문을 처형하고 충신은 불사이군이라 충의의 정신으로 나라의 장래를 걱정하며 백성을 위해 수양에게 반기를 들었다.

이 기회에 만주 일대 여진족은 이징옥 장군을 영도자로 모시고 대민족 국가 건설에 앞장서자며 오부족 대표 건주 여진 추장 누르하치의 조부 기오창까가 주도 특사 김수산 부장 일행과 합의하여 대금제국을 건국, 영토를 만주 전역으로 선포하고 도읍은 오국성(혁도아랍)만주땅 건주여진 본거지에 정하고 대금제국 대금황제에 이징옥 장군을 추대하였다.

이징옥 장군은 대국을 건설하여 사필귀정을 결심하고 대금황제에 제위 대금제국 건국을 선포하였다.민족의 여망 대민족 건설에 대금제국 깃발을 들고 대금제국 만세 대금제국 만세 장엄한 행렬과 함성 소리는 만주땅 요동을 진동하며 오국성 입성 전야에 수양의 일당 정종,이행검의 흉계로 야습을 당해 대금제국 운명과 민족사의 비극으로 일생을 마쳤다.

그 변란에 長男 滋源 次男 潤源은 순절하였고 8살 三男 淵源은 유모가 구출하여 산을 넘고 물을 건너 머나먼 경주 토함산 서편 아래 상신곡에 은거하였다. 혈족을 이어가기 위해 貫을 草山이라하고 개명을 台燁으로 하였다. 그 후 자손이 번창하여 지금의 世系를 이어가고 있다. 十一世孫 震煥에 이르러 禮曹에 글을 올려 純祖 12년(1812)에 仁川으로 貫을 環貫하였다.



아-아 난세의 영웅 이징옥 장군 만고에 충신 이징옥 장군 540년이 지나도록 무덤마저 찾을 길 없어 자손의 한으로 남아 토함산 서편 아래 경북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상신)에 경모재를 짓고 신도비를 세워 위업을 새겨 제단을 설단하여 봄에 향사 10월 19일 대제에 봉축하고 왔으나 다행히 자손들이 정성을 모아 上薪祠 사우를 신축하여 위폐를 모시고 제단비도 새로 단장하여 忠剛의 얼을 추모하고 있다.

충강공 이징옥 장군께서는 계룡산 동학사 숙모전과 영월 장능 단종 배식단 사우에 사육신과 더불어 충신으로 모셔 지난 역사를 되새겨 주고 있다.

시중공파


공도공파


쌍명재파


충강공파: 현재 우리가 속해있는 분파.
인천 이씨 (仁川李氏)

1> 시조 : 이허겸[李許謙]
2> 본관 및 시조의 유래

인천(仁川)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매소홀현이었는데
경덕왕때 소성으로 개칭, 율진군(시흥군)의 영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413년(태종 13)에 인천군이 되었으며 1949년 인천시로 개칭되고 1981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 경기도에서 분리 독립하였다.

시조 이허겸은 고려 현종조 상서좌복사 상주국 소성현개 국후에 올랐다
식읍 1천5백호를  받았는데 그곳은 인천으 로 자손이 그로 인해 문
학산 아래에서 세거하게 되어 관 향을 삼게 되었다.소성은 인천의 옛
이름이며,그 의 묘도 문학산 아래 연수동 간치도에 있으나 지금은 연
육이다.본 래 인천이씨는 가락국 수로왕자 중 모비의 성을 따라 허
씨가 되 었고,그후 신라 경덕왕때에 이르러 아손 허기가 당 현종조(
천보14년)에 안록산의 난이 발생하여 사신으 로 입당 피신하는 현종을
호위한 공으로 황성인 이씨성을 사성받아 이씨로 된 연원을 말하고 
있다.
그후 그의 17세존 허겸(許謙)이 상서좌복야를 지내고
상주국에 올라 소성백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이허겸(李許謙)을 시조로 받들고,
그가 식읍으로 하사받았던 인천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면서, 명문의 지위를 굳혔다.가문을빛낸 대표적인 인물로는 자연(子淵 :허겸의 손자)이 문종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내고 공신에 올랐으며, 뒤에 개부의동삼사 태사겸 중서령 감수국사상주국으로 경원군 개국공에
이르렀고, 그의맏아들 호(顥)는 선종의국구로 문종때 호부낭중을 지낸후 경원백에 추봉되어
아우 정(문하시중으로 경원백에 추봉), 의(재상에 오름) 등과 함께 가세를 일으켰다.
조선조에 와서는 태종때 형조참판과 함길도 도체찰사를 지낸 관(灌)과
대제학과 예조판서를거쳐 참찬의정부사에 이르러 영의정에 추증된 문화(文和)가 유명했으며,
효상(孝常)은 지돈령부사에 올라 학문과 충효로 명망이 높았다.
참판 중손(仲孫)의 손자인 성동(成童)은 직제학과 대사간을 지내고 중종때 형조참의에 올랐으나,기묘사화때 파직되기도 했다.
그밖의 인물로는 판서 인(寅)의 아들 휴복(休復)이 곽재우와 함께 왜병과의 싸움에서전공을
세웠으며 이괄의 난 때는 관군의 별장으로 안현에서 공을세워 진무3등공신으로 인원군에
봉해져서 무명을 떨쳤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며 인천이씨(仁川李氏)는 남한에 총 14,605가구, 61,04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집성촌
충북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전남 장흥군 관산면 동두리
충죽 보은군 삼승면 달산리
전남 장흥군 부산면 용반리
충남 청양군 대치면 형산리
대구시 동구 서변동, 연경동
전남 보성군 회천면 벽교리
경남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 군복면 명관동
전남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집정리
경남 합천군 쌍백면 하신리, 운곡리

<인천이씨 충강공파>

 

29세손:이준필<청도백씨백운곡>

30세손:항렬;은-->이은칠<김해김씨김복순>

31세손:항렬;락-->이수락(일명:이영수)<경주이씨이윤경>

32세손:항렬;동-->이동실(일명:이정실)<인동장씨장은경>

                              (바를정:正,맺을실:實)

33세손:항렬;열-->이상열(상스러울상:祥,세찰열:烈)

    이태웅(클태:泰,수컷웅: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