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천 이 씨
김해김씨·김해허씨·인천이씨 유래 - 가락김씨(김해김씨) 시조인 가야국 김수로왕(金首露王, 서기 42년~199년)은 배를 타고 들어온 아유타국(지금의 인도) 공주와 혼인을 하였는데 이름이 허황옥(許黃玉)이었다. 김수로왕과 허왕후 사이에는 장자 거등(居登)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왕자들을 낳았다는데 왕자들은 처음엔 왕의 성을 따라 김씨로 하였다. 그러나 왕비인 허씨가 자기의 성인 허씨의 성도 보전해 달라고 왕에게 간곡하게 부탁하여 장자 거등은 왕의 대를 잇기 위해 김씨 성을 그대로 따르게 하고, 아래로 두 아들은 어머니의 성을 따라 허씨로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일곱 형제들은 불문에 귀의하였다.
가락국이 신라에 병합되었을 때 허씨의 후손 중에 허기(許奇)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아찬(阿粲 : 6두품)이란 벼슬을 지내고 있었다. 허기는 경덕왕 15년 왕명을 받고 당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그런데 당나라에 도착을 하고 보니, 마침 안록산의 난이 일어나 당(塘) 현종(玄宗)은 촉(蜀)으로 피신하고 있는 중이었다. 이에 허기는 현종을 도와 무사히 촉까지 호종하는 공을 세웠다. 안록산이 죽고 나라가 안정되자 현종은 허기의 공을 높이 치하하여 황실의 성인 이씨의 성을 하사하였다. 따라서 ‘허’라는 성 앞에 ‘이’라는 성을 붙여 ‘이허’(李許)로 부르게 되어 허기가 이허기(李許奇)로 바뀐 것이다.
이허기가 사신의 임무를 마치고 귀국하자 신라 임금도 이허기의 벼슬을 높이고 소성백(邵城伯)에 봉하였다. 소성이란 지금의 인천 지역을 가리킨다. 세월이 흘러, 그의 10세손인 이허겸(李許謙)이란 인물이 고려 왕실에서 다시 내린 소성백이란 봉작을 받고 그 지역을 관향삼아 소성이씨로 살아가니 지금의 인천이씨 시조가 된 것이다 인천 이씨의 선계는 가야계의 허씨로 알려져 있다. 신라 경덕왕 14년(755년) 허황후(許皇后)의 23세손인 아찬(阿飡ㆍ신라 17관등 중 6번째 관등) 허기(許奇)가 신라 사신으로 당(唐)나라에 갔을 때 그해 11月에 안록산(安祿山)의 난이 발생하여 현종(玄宗)이 756년 촉(蜀)으로 피난하게 되었다.
그때 허기(許奇)는 위험을 무릅쓰고 현종을 호종(扈從)하였으며, 757년 난이 평정되어 현종이 도성으로 돌아와서 이를 가상히 여겨 시서(詩書)와 황제의 성(姓)인 이씨(李氏)를 사성(賜姓)하였다. 758年 허기(許奇)가 신라로 환국하자 신라 경덕왕은 그 공을 기려 소성백(邵城伯)의 작위(爵位)와 식읍(食邑) 1,500호를 봉하여 세습케 하였으며, 이로써 허씨(許氏)에서 이씨(李氏)가 되었으므로 인천 이씨 문중에서는 이허기(李許奇)를 득성조(得姓祖)라 한다.
득성조(得姓祖) 이허기(李許奇)의 10세손으로 고려 현종(顯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낸 이허겸(李許謙)에게는 2남 1녀가 있었는데 그의 딸이 김은부(金殷傅)에게 시집가서 세 딸을 낳았고, 이 세 딸이 모두 현종(顯宗)의 비(妃)가 되었다. 인천 이씨는 바로 허씨에서 갈린 분적종(分籍宗)으로 경원 이씨(慶源李氏) 또는 인주 이씨(仁州李氏)로도 불렸다.본관[편집]인천(仁川)은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 매소홀현이었는데 경덕왕때 소성으로 개칭, 율진군(시흥군)의 영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413년(태종 13)에 인천군이 되었으며 1949년 인천시로 개칭되고 1981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 경기도에서 분리 독립하였다.
분파
시중공파(侍中公派) - 이작신
공도공파(恭度公派) - 이문화
쌍명재파(雙明齋派) - 이인로
충강공파(忠剛公派) - 이징옥
고려 왕실과의 인척관계
문종비 인예왕후
문종비 인경현비
문종비 인절현비
순종비 장경궁주
선종비 정신현비
선종비 사숙왕후
선종비 원신궁주
예종비 경화왕후
예종비 순덕왕후
인종비 폐비 이씨 (이자겸의 3녀)
인종비 폐비 이씨 (이자겸의 4녀)
本貫은 仁川이며 號는 圓峰 諡號는 忠剛(正祖15년1791)으로써.判中樞院事 崇政大夫 從一品 咸吉道 都節制使 大金帝國 建國 大金皇帝에 추대되었다. 始祖 邵城伯 諱 李許謙의 後孫이다. 上代祖의 文獻 無證으로 中始祖 祖 諱 萬英 麗朝에 벼슬하여 李朝에 匡國 輔祚功臣 吏曹判書 仁川君 子 全生 太祖에 工曹典書 世宗에 梁山君 封 梁山府院君의 次男이다. 兄 諱 澄石 梁山君 襲封 弟 諱 澄珪 靈山君이며 配 貞敬夫人 碧珍 李氏 吏曹判書 愼之의 딸 三男一女를 두었다. 長男 滋源 次男 潤源 三男 淵源이다.
李澄玉은 1399년 태어나1453을 일생으로 경남 양산시 하북면 삼수리에 태어나 소년 시절부터 무용이 특출하였다. 17세에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태종 16년(1416)에 부거책장 수비대장에 역임, 18세 때 무과 친시 별시 장원급제하여 영북진 절제사 소년 절제사가 되었다. 그 후 경원 절제사 경원 병마 절제사 회령 북진 절제사 경상도 도절제사 평안도 도절제사 함길도 도절제사 지중추원사 판중추원사를 태종 16년에서 단종에 이르기까지 두루 역임하면서 북방 국토 방위 중책의 임무에 전념하였다.
(왕조실록) 문종2년 사군 육진 개척에 용감히 위명을 떨친 공과 청렴결백의 숭고한 정신을 함양하고자 王의 特令으로 崇政大夫 당대 무신 제일의 從一品의 품계를 下賜받았다. 삼십여 년 변방 사군 육진 개척의 선봉 명장으로 위용과 위명을 만주 땅 요동까지 널리 과시하여 여진족들은 신의 존재로 추앙하였다.
함길도 도절제사 재직시 1453년 계유정난을 맞아 수양이 소인배 무리들과 합세 왕권을 찬탈하기 위해 거사를 실행하던 중 김종서 장군과 많은 충신들을 주살하고 이징옥 장군이 크게 장애가 됨으로 아무런 이유 없이 직위를 파직하였다. 파직 당한 이징옥 장군은 수양의 음모로 판단 후임 박호문을 처형하고 충신은 불사이군이라 충의의 정신으로 나라의 장래를 걱정하며 백성을 위해 수양에게 반기를 들었다.
이 기회에 만주 일대 여진족은 이징옥 장군을 영도자로 모시고 대민족 국가 건설에 앞장서자며 오부족 대표 건주 여진 추장 누르하치의 조부 기오창까가 주도 특사 김수산 부장 일행과 합의하여 대금제국을 건국, 영토를 만주 전역으로 선포하고 도읍은 오국성(혁도아랍)만주땅 건주여진 본거지에 정하고 대금제국 대금황제에 이징옥 장군을 추대하였다.
이징옥 장군은 대국을 건설하여 사필귀정을 결심하고 대금황제에 제위 대금제국 건국을 선포하였다.민족의 여망 대민족 건설에 대금제국 깃발을 들고 대금제국 만세 대금제국 만세 장엄한 행렬과 함성 소리는 만주땅 요동을 진동하며 오국성 입성 전야에 수양의 일당 정종,이행검의 흉계로 야습을 당해 대금제국 운명과 민족사의 비극으로 일생을 마쳤다.
그 변란에 長男 滋源 次男 潤源은 순절하였고 8살 三男 淵源은 유모가 구출하여 산을 넘고 물을 건너 머나먼 경주 토함산 서편 아래 상신곡에 은거하였다. 혈족을 이어가기 위해 貫을 草山이라하고 개명을 台燁으로 하였다. 그 후 자손이 번창하여 지금의 世系를 이어가고 있다. 十一世孫 震煥에 이르러 禮曹에 글을 올려 純祖 12년(1812)에 仁川으로 貫을 環貫하였다.
아-아 난세의 영웅 이징옥 장군 만고에 충신 이징옥 장군 540년이 지나도록 무덤마저 찾을 길 없어 자손의 한으로 남아 토함산 서편 아래 경북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상신)에 경모재를 짓고 신도비를 세워 위업을 새겨 제단을 설단하여 봄에 향사 10월 19일 대제에 봉축하고 왔으나 다행히 자손들이 정성을 모아 上薪祠 사우를 신축하여 위폐를 모시고 제단비도 새로 단장하여 忠剛의 얼을 추모하고 있다. 충강공 이징옥 장군께서는 계룡산 동학사 숙모전과 영월 장능 단종 배식단 사우에 사육신과 더불어 충신으로 모셔 지난 역사를 되새겨 주고 있다.
仁川李氏 邵城譜 世系圖
(시중공, 공도공, 충강공. 쌍명제공)
1 世(14)代組 : 李 許 謙(邵城伯:인천광역시연수구연수2동583-1)
2 世(13)代組 : 翰 (문경공)
3 世(12)代組 : 子 祥 (우복야)
4 世(11)代組 : 預 (평장사)
5 世(10)代組 : 公 壽 (문충공)
6 世( 9)代組 : 之 低 (문정공)
7 世( 8)代組 : 世 興
8 世( 7)代組 : 文 淵
9 世( 6)代組 : 㧡 保
10 世( 5)代組 : 迪 元
11 世( 4)代組 : 泌 (양산/永茂)
12 世( 3)代組 : 0 0 (양산/復禮)
13世( 2)代組 : 椿 年(益歲1290, (양산/守中)
14世(1)代組 : 李 萬 英 / 중시조(1320~ ,賢 佐)
(慶南 昌寧郡 丈麻面 丈加里 山88番地)
15世 ( 2)代組 : 全 生(1352-1450)
16世 ( 3)代組 : 澄石 澄玉(1399-1453) 澄珪
17世 ( 4)代組 : 滋源 潤源 淵源
18世 ( 5)代組 : 橧
19世 ( 6)代組 : 公憲
20世 ( 7)代組 : 得龍 得良
21世 ( 8)代組 : 宗敏 宗華
22世 ( 9)代組 : 佑節 佑漢
23世 (10)代組 : 汝煒 汝芳 汝雄
24世 (11)代組 : 仁宅 仁九 仁錫
25世 (12)代組 : 梓 柏(1725-1807) 林
26世 (13)代組 : 震煥 震明 震國 震坤(1791-1854)
27世 (14)代組 : 貞泰 在泰 應泰(1825-1886) 元泰
28世 (15)代組 : 德淳 德民 德文 德範(1858-1912) 德建 德成
29世 (16)代組 : 鳳馝 滿馝 益馝(1891-1973) 種馝 東馝
30世 (17)代組 : 殷毫(19-40) 殷甫(1930-1987) 殷隨 殷白 殷述 殷鶴 殷俊 殷佑
31世 (18)代組 : 增洛(42- ) 協洛(46- ) 和洛 靜洛 容洛 式洛 台洛 圭洛 相洛
32世 (19)代 : 東保 東億 東佑 東春 東喆 東鉉
33世 (20)代 : 琪烈 光烈 景烈 琴烈
34世 (21)代 : 재
35世 (22)代 : 석
2000년 통계조사 총 계 : 1,180문,21,448호/68,628명.
(邵城譜 世系圖)
1 世( )代組 : 李 許 謙(邵城伯:인천광역시연수구연수2동583-1)
2 世( )代組 : 翰 (문경공)
3 世( )代組 : 子 祥 (우복야)
4 世( )代組 : 預 (평장사)
5 世( )代組 : 公 壽 (문충공)
6 世( )代組 : 之 低 (문정공)
7 世( )代組 : 世 興
8 世( )代組 : 文 淵
9 世( )代組 : 㧡 保
10 世( )代組 : 迪 元
11 世( )代組 : 泌 (양산/永茂)
12 世( )代組 : 0 0 (양산/復禮)
13世( )代組 : 椿 年(益歲1290, 양산/守中)
14世(1)代組 : 李 萬 英/중시조(1320~ , 賢 佐)
15世( 2)代組 : 全 生 (1352~1450)
16世( 3)代組 : 澄 玉 (함길도도절제사:1399~1453))
17世( 4)代組 : 淵 源
18世( 5)代組 : 橧
19世( 6)代組 : 公 憲
20世( 7)代組 : 得 龍
21世( 8)代組 : 宗 敏
22世( 9)代組 : 佑 節
23世(10)代組 : 汝 煒
24世(11)代組 : 仁 宅
25世(12)代組 : 栢 (통정대부공조참의:1725~1807)
(12)代組 : 숙부인(월성박씨)
26世(13)代組 : 震 坤 (1791~1854)
(13)代組 : 김녕김씨
27世(14)고조 : 應 泰 (1825~1886)
(14)고조 : 학성이씨
28世(15)증조 : 德 範 (1858~1912)
(15)증조 : 이영순(월성이씨)
29世(16)조부 : 益 馝 (1891~1973) 俊 馝(준필)
(16)조모 : 용궁전씨 백운곡(청도백씨)
(16)조모 : 손상신(월성손씨)
30世(17)부친 : 殷 甫 (1927~1987) 殷 七(은칠:1921~2001)
(17)모친 : 주경선(신안주씨) 김복순(김해김씨)(1927~2013)
31世 (18)본인 : 協 洛 (1946 ~ ) 守 洛(수락(본명:영수):1956~ )
(18) 처 : 최 해자(월성최씨) 이윤경 (경주이씨)
32世 (19) 자 : 東 佑 (1975 ~ ) 東 實(동실(본명:正바를정 實열매실):1976~ )
32世 (19) 처 : 조 현숙(창녕조씨) 장은경(인동장씨)
33世 (20) 자 : 炅 烈 (炅 珉 ) 祥 烈 (상렬(본명:泰 클태 雄 수컷웅)
忠剛公(仲始祖)係譜
(1320- )(14세 .시중공, 공도공, 충강공. 쌍명제공)
14世孫( 1): 1만 萬英:(慶南 昌寧郡 丈麻面 丈加里 山88番地)
15世孫( 2): 1생 全生(1352-1450)
16世孫( 3): 3징 澄石 澄玉(1399-1453) 澄珪
17世孫( 4): 7원 滋源 潤源 淵源
18世孫( 5): 4증 橧
19世孫( 6): 6공 公憲
20世孫( 7): 8득 得龍 得良
21世孫( 8): 9종 宗敏 宗華
22世孫( 9): 2우 佑節 佑漢
23世孫(10): 3여 汝煒 汝芳 汝雄
24世孫(11): 3인 仁宅 仁九 仁錫
25世孫(12): 7백 梓 柏(1725-1807) 林
26世孫(13): 14진 震煥 震明 震國 震坤(1791-1854)
27世孫(14): 24태 貞泰 在泰 應泰(1825-1886) 元泰
28世孫(15): 43덕 德淳 德民 德文 德範(1858-1912) 德建 德成
29世孫(16): 80필 鳳馝 滿馝 益馝(1891-1973) 種馝 東馝
30世孫(17):141은 殷毫(19-40)殷甫(1927-1987) 殷隨 殷白 殷述 殷鶴 殷俊 殷佑
31世孫(18):285락 增洛(41- ) 協洛(46- ) 和洛 靜洛 容洛 式洛 台洛 圭洛 相洛
32世孫(19):362동 東保 東億 東佑 東春 東喆 東鉉
33世孫(20):155열 琪烈 光烈 景烈 琴烈
34世孫(21): 22재
35世孫(22):석
36世孫(23):해
37世孫(24):근
38世孫(25):영
39世孫(26):기
40世孫(27):용
41世孫(28):호
42世孫(29):상
43世孫(30):연
44世孫(31):달
45世孫(32):수
46世孫(33):한
'▣인천이씨집안내력 > ♧본관및시조의유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가계도 (0) | 2020.02.05 |
---|---|
인천 이 (仁川 李) 역대 주요인물 (0) | 2019.01.14 |
아버지어머니 부산추모공원 봉안당 모습 (0) | 2013.09.22 |
족보에 의한 집안 내력 (0) | 2013.09.19 |
중시조인 충강공 이징옥 할아버지에 대하여 (0) | 2010.09.18 |